근로장려금
-
20년 정기 신청 및 반기 정산분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지급지원사업/지원사업(2021년이전) 2021. 8. 29. 09:54
468만 가구에 4조 1천억 원을 법정기한보다 한 달 이상 앞당겨 조기 지급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구분 주요내용 지급일 저소득 가구 지원을 위해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을 법정기한(9월 30일)보다 한 달 이상 앞당겨 8월 26일 지급 대상 21년5월 정기 신청분, 20년 9월 및 21년 3월 반기신청 정산분 지급규모 총 487만 가구, 4조 9,845억 원 가구당 평균지급액 근로/자녀장려금 총 지급액 기준은 114만 원 - 근로장려금은 105만 원 - 자녀장려금은 86만 원 심사결과 모든 신청자에게 결정통지서를 개별적으로 발송하였으며, 장려금 상담센터, 자동응답시스템, 홈택스 및 손택스(이동통신앱)에서도 확인 가능 기한 후 신청 신청요건을 충족하였음에도 신청하지 못한 경우, 11월 30일까지 홈택스 및..
-
2020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6월 15일 지급예정 장려금 수령방법은지원사업/지원사업(2021년이전) 2021. 6. 14. 00:33
국세청은 2020년 하반기분 근로장려금을 신청한 167만 가구에 대해 심사를 완료하여 6월 15일에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약 114만가구에게 5,208억원의 근로장려금을 지급하며, 올해는 신속히 지원하기 위해 법정기한보다 15일 빨리 지급합니다. 가구당 46만원 지급될 예정이며, 근로장려금 심사와 지급결과는 장려금 상담센터, 홈택스, 손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수령방법은 신고당시 신청한 예금계좌를 통해 6월 15일까지 입금될 예정입니다. 만약 계좌를 신고하지 않은 경우 우편으로 받은 국세환급금 통지서와 신분증을 가지고 우체국에서 현금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대리인으로 수령할 경우 대리인과 신청자의 신분증, 국세환급금통지서, 위임장을 지참해야 합니다. 근로장려금 반기지급 제도 근..
-
저소득층을 위한 금융 관련 지원 및 과도한 채무, 불법 추심에 대한 지원팁/금융, 경제 2021. 5. 23. 16:37
근로장려금 / 자녀장려금 일하는 저소득 가구에게 경제적 자립과 아이가 있는 가정에는 양육에 도움을 위해 장려금을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 근로, 사업, 종교인 소득이 있으며, 가구, 소득, 재산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 1. 가구요건 구분 내용 단독가구 배우자와 부양자,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 홑벌이가구 - 배우자 총급여액 등이 300만원 미만인 경우 - 배우자 없이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 - 배우자 없이 직계존속이 있는 경우(70세 이상) 맞벌이가구 거주자 및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 등이 300만원 이상인가구 2. 소득요건 구분 내용 단독가구 연간 총소득 2,000만원 미만 홑벌이가구 연간 총소득 3,000만원 미만 맞벌이가구 연간 총소득 3,600만원 미만 * 자녀장려금 연간 총소득 4..
-
2020년 하반기 반기 근로장려금 신청 홈택스, 손택스, 자동응답전화 가능지원사업/지원사업(2021년이전) 2021. 3. 5. 22:59
국세청은 3월 15일까지 2020년 하반기 (반기)근로장려금을 접수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신청하지 못한 가구는 5월 근로장려금 정기신청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반기 근로장려금 신청자는 장려금 심사를 거쳐 6월말에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신청은 홈택스, 손택스, 자동응답전화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난해 9월 2020년 상반기 근로장려금을 신청한 가구는 이번 하반기 근로장려금을 신청한 것으로 보아 별도로 신청할 필요가 없습니다. 가구 구성 가구 구성과 소득, 재산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신청대상이 됩니다. 다만 1가구에 1명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구분 내용 단독가구 배우자, 부양자녀,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가구 홑벌이가구 배우자(총 급여액 등이 300만원 미만)나..
-
일하는 저소득층의 위한 자산형성 지원(희망키움통장, 내일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근로장려금 등)지원사업/지원사업(2021년이전) 2020. 6. 26. 13:03
저소득층 중 일을 하는 사람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자립자금을 지원하여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희망키움통장 - 내일키움통장 - 청년희망키움통장 - 청년저축계좌 - 근로장려금 - 자녀장려금 희망키움통장 지원대상 구분 가입기준 1유형(기초수급자) - 생계, 의료수급 가구 - 재정 지원 일자리(자활근로, 공공근로 등) 및 사회적 일자리서비스 사업 소득은 근로소득의 범위에서 제외 2유형(차상위대상) -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 현재 근로활동을 하고 있는 가구 지원내용 구분 내용 1유형 - 매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근로소득장려금(가구소득에 비례한 일정비율) 지급 - 3년 이내 생계급여, 의료급여 수급자에서 벗어난 경우 적립금 전액 지급 2유형 - 매월 10만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