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및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3차 입주자 모집 시작(8월 11일부터~)사회이슈 2020. 7. 30. 00:14반응형
8월 11일부터 전국 16개 시도에서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임대주택의 입주자를 모집한다.
모집물량은 총 5,392호로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모집한다.
수도권 2,315호와 지방 3,077호가 공급된다. 8월 중에 입주신청을 하면 청년은 9월, 신혼부부는 10월부터 입주된다.
청년 및 신혼부부 매입임대 입주자는 경제적 여건에 따라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를 상호 조정할 수 있다.
임대보증금을 높이면 월 임대료를 낮춰 임대료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유형에 임대보증금 약 200만원 인상하려는 경우 월 임대료는 1만원 낮아진다.
청년 및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의 공급지역이나 대상주택, 입주자격 등 자세한 사항은 7월 31일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고문에 따라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부산도시공사와 대전도시공사도 청년 매입임대와 신혼부부 매입임대 유형으로 공고문을 확인할 수 있다.청년 매입주택
청년은 취업준비, 직주근접 등을 위해 이사가 잦은 특성이 있다.
청년 매입주택은 에어컨, 냉장고 등 풀옵션으로 공급하며, 주변 시세의 40~50% 수준으로 임대료로 생활 할 수 있다.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다가구 주택 등에서 거주하는 1유형과 아파트나 오피스텔에서 거주할 수 있는 2유형으로 공급된다.
구분 신혼부부 1유형 신혼부부 2유형 소득기준
(도시근로자 월 평균 소득)70%(부부 합산 90%) 100%(부부 합산 120%) 지원단가 평균 1.6억원(서울 1.9억원) 평균 3억원(서울 4.36억원) 주택유형 다가구주택 등 다가구주택, 아파트 및 오피스텔 임대료 시세 30~40% 시세 60~70% 신혼부부 유형 중에서 6개월 이상 공가 주택 1,154호는 혼인기간 7년이 지났어도 미성년 자녀를 둔 혼인가구가 입주할 수 있도록 입주요건을 완화하였다.
청년 매입임대주택 입주자격
신청자격
- 무주택자인 미혼청년
- 대학생, 취준생, 19~39세입주순위
순위 입주순위 자산기준(총 자산) 자산기준(자동차) 1순위 생계, 주거, 의료수급자 가구, 한부모 가족, 차상위 계층 가구 - - 2순위 - 본인 + 부모 소득100%이하
- 국민임대 자산기준 충족2억 8,800만원 2,468만원 3순위 - 본인 소득 100%이하
- 행복주택 청년자산기준 충족2억 3,700만원 2,648만원 신혼부부 1유형 임대주택 입주자격
신청자격
- 무주택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 소득 70%(맞벌이 90%) 이하
- 국민임대 자산기준 충족
- 혼인 7년이내, 예비 신혼부부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가구입주순위
순위 입주순위 자산기준(총 자산) 자산기준(자동차) 1순위 - 유자녀 (예비)신혼부부
-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2억 8,800만원 2,468만원 2순위 -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 " 3순위 -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 신혼부부 2유형 임대주택 입주자격
신청자격
- 무주택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 소득 100%(맞벌이 120%) 이하
- 행복주택 신혼부부 자산기준 충족
- 혼인 7년이내, 예비 신혼부부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가구입주순위
순위 입주순위 자산기준(총 자산) 자산기준(자동차) 1순위 - 유자녀 (예비)신혼부부
-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2억 8,800만원 2,468만원 2순위 - 무자녀 (예비)신혼부부 " " 3순위 -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 728x90반응형'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갱신요구권(2+2년)을 보장하고, 갱신 시 보증금 등 5% 상한제를 도입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통과 (0) 2020.07.30 민영주택 생애최초 특별공급제도 신설 및 신혼부부 생애최초 요건 중 소득요건 완화 등 청약제도 개선 (0) 2020.07.30 710부동산대책 발표 이전 계약한 주택은 현재의 취득세율 적용(입증서류 구비 필) (0) 2020.07.28 한국판 뉴딜 대표과제 중 그린 뉴딜 분야 - 그린 리모델링, 그린 산단, 그린 스마트 스쿨, 그린 에너지, 친환경 모빌리티 (0) 2020.07.28 한국판 뉴딜 대표과제 중 디지털 뉴딜 분야 - 데이터 댐, 지능형 정부, 스마트 의료인프라, SOC 디지털화, 디지털 트윈 (0) 202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