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573돌 한글날 맞이 일본식 언어 순화 예시
    팁/기념일, 이벤트 2019. 10. 8. 23:11
    반응형

    올해 한글날은 573돌을 맞았다.

    10월 9일 오전 10시에 광화문광장 북측에서 한글날 경축식이 개최된다.
    한글 및 세종대왕 관련 단체, 주한 외교단, 시민, 학생 등이 참석한다.

    한글, 세상을 열다.

    573돌 한글날 주제

    또한 10월 8일, 9일 진행되는 한글문화큰잔치와 연계하여 다양한 전시, 체험 프로그램과 문화예술행사들이 진행된다.
    지자체나 재외공관에서도 자체 경축식이 진행되며 외국인 한글 겨루기, 한글 글짓기, 한글서예대회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거나 예정이다.

    한글날

    한글날은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국경일이다.

    1926년 음력 9월 29일 가갸날이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바뀌었다.
    1932년에 음력을 양력으로 변경하여 10월 29일날로 변경하였으며,
    해례본 원본이 1940년 발견되어 한글날이 1946년부터 10월 9일로 확정되었다.

    한글날이 1970년부터 공휴일이었다.
    1990년에 법정공휴일 축소 논의로 한글날은 공휴일이 아닌 기념일이 되었다.
    하지만 한글관련 단체의 ‘한글날 국경일 제정운동’으로 2006년부터 국경일로 변경되었다.
    또한 2013년부터 한글날도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은 국보 70호로 지정되었고 1997년 10월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10월 9일

    한글날이 10월 9일로 지정된 이유는 훈민정음해례본 원본이 발견되면서 변경 지정되었다.
    해례본에 ‘세종 28년 9월 상순’이라는 기록이 발견하었다.

    실록의 내용은 ‘이번 달에 왕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나오고,
    3년 뒤 세종 28년(1446년) 9월 기록 마지막에 ‘이번 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라는 기록이 나온다.
    이를 근거로 10월 29일로 한글날로 하였지만 훈민정음해례본 원본이 발견되고 세종 28년 9월 상순의 기록을 근거로 10월 9일로 변경하였다.

    일본어 투 용어 고쳐 쓰기

    국립국어원이 573돌 한글날을 맞이해서 일상 속에서 사용하고 있는 꼭 고쳐 써야 하는 일본식 어투를 선정하였다.
    일본식 한자어, 일본어 음차어를 선정하였고 2005년 자료집(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에 실린 1,100여 개 중에서 자주 사용하고 개선이 시급한 50개를 발표하였다.

    광복 이후 국어 순화 정책을 실시하였지만 아직도 비공식적인 자리나 특정 분야에서 일본식 언어를 사용하고 있어 의식적으로 우리말로 바꾸어 쓰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식 한자어

    일본어 투 용어 권장 표현 일본어 투 용어 권장 표현
    망년회 송년회 거래선 거래처
    견습 수습 종지부 마침표
    모포 담요 대절 전세
    고수부지 둔치 도합 합계
    구좌 계좌 보합세 주춤세
    노견 갓길 불입 납입
    가불 선지급 고참 선임
    가처분 임시 처분 다반사 예삿일
    마대 포대, 자루 수취인 받는 이
    익일 다음 날 잔고 잔액

    일본어 음차어

    일본어 투 용어 권장 표현 일본어 투 용어 권장 표현
    모찌 찹쌀떡 쓰키다시 곁들이찬
    유도리 융통성 아나고 붕장어
    나가리 무산 가라모찌 가짜
    나와바리 구역 간지나다 멋지다
    단도리 단속, 채비 무데뽀 막무가내
    땡땡이 물방울 이빠이 많이, 가득
    만땅 가득(차다, 채우다) 곤조 고집, 근성
    쇼부 결판 기스 흠, 흠집
    와사비 고추냉이 분빠이하다 나누다, 각자내기하다
    찌라시 전단지, 광고지 사시미 생선회
    가오 체면, 무게 와꾸
    쿠사리 핀잔 지리 맑은탕
    노가다 막노동, 막일 뽀록나다 들통나다
    대빵 대장 비까번쩍하다 번쩍번쩍하다
    나시 민소매 삑사리 실수, 음이탈, 헛발질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