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도 결혼, 임신, 출산, 육아 분야별 지방자치단체 지원정책
보건복지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출산 지원정책을 확인할 수 있는 '2021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 지원정책 사례집'을 발간한다고 밝혔습니다.
사례집에는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는 결혼과 임신, 출산, 육아, 가족 분야별 지원정책을 지원 유형별로 구분하여 수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결혼 및 임신 준비 단계를 결혼 전, 임신 전 단계로 세분화하여 지원 사례들을 소개하였습니다.
- 저출산 및 인구 관련 교육, 캠페인, 일가정 양립 홍보 등 사업을 '가족' 단계로 분류
- 현금, 상품권, 현금성, 현물, 이용권(바우처), 서비스 인프라, 교육홍보로 분류
2021년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하고 있는 출산 지원정책은 총 2,310개로 2020년 총 2,367개보다 다소 감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원 분야별로 지방자치단체의 출산 지원정책을 구분하면, 출산(826개), 육아(643개), 임신(431개), 임신 전(145개), 가족(144개), 결혼(90개), 결혼 전(31개) 순으로 많고, 임신, 출산, 육아 분야에 집중(82.3%)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년도 동일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81.5%)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지원유형별로는 현금(710개), 서비스(587개), 교육홍보(322개), 현물(297개), 현금성(192개), 바우처(152개), 상품권/인프라(50개) 순으로 많고, 현금과 서비스 제공방식이 다수(56.1%)를 차지하여, 전년의 동일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55.7%)과 유사하게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사례집을 통해 결혼, 임신, 출산, 육아 단계별로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정책 및 지자체의 출산 친화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히며, 나아가 본 사례집 분석을 통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발굴하고, 향후 저출산 대책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역할 정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2021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 지원 정책 사례집은 각 지자체, 행정기관, 공공단체 및 국회도서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 - 정보 - 연구/조사/발간자료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신혼부부 및 출산가정에 전세자금 대출이자를 지원(다문화가정은 추가 지원)하고, 충북 제천시는 주택마련 자금을 지원하며, 강원도는 찾아가는 산부인과를 운영하여 관내 산모들의 산전 진찰, 초음파, 기형아검사 등을 의료 서비스를 보다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습니다.
경기 오산시 등은 관내 거주 임산부를 대상으로 비대면으로 감염을 예방하며 태교, 출산, 신생아 돌봄 등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부산 남구 등은 산전 후 우울증에 대한 검사, 상담,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인천광역시는 민간산후조리원을 인천형 산후조리원 지정 운영하여, 기능보강비 지원, 부모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 산후조리원 질을 제고하고 양질의 산후조리 서비스 제공 기관을 확보하였고, 경기 시흥시는 '숨 쉬는 놀이터'를 설치하여 놀이를 매개로 한 공동육아와 상시 부모교육 등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었습니다.
충남 청양군의 농가도우미 지원, 대구 달성군의 예쁜 이름 지어주기 사업, 광주광역시의 출산맘 나눔 가게 운영, 충남 논산시의 24시간 아이돌봄센터 운영 등, 각 지자체는 지역 특성 및 요구를 충족하는 다양한 출산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2021년도 지자체 출산지원정책 분류표
사업분야(생애주기별)
구분 | 주요내용 |
결혼(전) | 결혼 목적의 만남, 건강검진, 청년 주택지원 등 |
결혼 | 결혼준비(예비부부교육, 주택마련 등), 결혼식, 신혼여행 단계까지 지원하는 사업 |
임신(전) | 임신 전 또는 임신준비 단계에 지원하는 사업 - 정관난관 복원수술비 지원, 난임부부 지원(한방, 검사비 등), 산전검사, 신혼부부 건강검진, 가임기 여성 건강검진 등 |
임신 | 임신부터 출산 전 단계까지 지원하는 사업 - 엽산제 및 철분제 지원, 임산부 요가 및 마사지 등 |
출산 | 출산 준비부터 산후조리 단계(출산 후 3개월 되는 시기)까지 지원하는 사업 - 산후조리원비 지원, 출산지원금, 출산축하선물, 산모도우미 지원, 신생아 사진촬영 등 |
육아 | 산후조리 종료 이후 자녀양육과 관련되어 지원하는 사업 - 단, 지자체 특수보육시책사업은 제외 |
가족 | 저출산 및 인구교육 및 캠페인, 출산 및 가족친화, 일가정 양립 홍보 등 |
지원분야(수단별)
구분 | 주요내용 |
현금지원 | 출산축하금, 출산지원금, 출산장려금, 출산양육지원금, 양육비, 육아수당, 육아지원금, 신생아양육비 등출산비용, 임신축하금, 난임부부 시술비, 입학축하금, 돌축하금, 입양축하금, 생일축하금, 교복비, 장학금, 의료비, 교재비, 산후조리비, 한약재비용, 검사비, 교통비, 간식비, 도서비 등, 대출이자 지원 |
상품권 | 상품권 및 지역화폐 지급 |
현금성 | 보험료 지원, 이용료 감면 - 출생아(신생아) 건강보험료, 임산부 공영주차장료 할인 또는 감면, 임산부 물품구입비 할인혜택(카드), 다자녀할인카드, 상하수도요금 및 도시가스 감면, 검사비 감면 등 |
현물 | 물품 직접 지급 - 출산축하선물(용품), 영유아 안전키트(안전용품), 영양제(엽산제 및 철분제 등), 쓰레기종량봉투, 기저귀, 유아의자, 도서(북스타트) 등 |
바우처 | - 바우처 : 산모신생아도우미 사업 등 - 쿠폰 : 초음파 쿠폰, 태아기형아 검사 쿠폰, 각종 풍진검사쿠폰, 교환권, 백일사진촬영권 등 |
서비스 | 출산용품(유축기), 카시트, 장난감 및 도서 등 대여, 시설 및 프로그램 이용, 도우미 지원, 양한방 시술, 무료검사, 무료 예방접종, 무료 진료, 결혼식장, 아기등록 및 출생증명서 발급, 축하카드 등 |
인프라 구축 | 육아나눔터, 공동육아나눔터, 돌봄센터 등 확충 |
교육 | 출산준비교실, 모유수유교실, 베이비마사지, 육아교실, 임산부교실, 부모교육, 요가교실, 영유아 건강교실, 저출산 및 인구교육 등 |
홍보 | 책자 배포, 행사, 축제, 캠페인, 토론회, 포럼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