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이슈
자율주행 레벨 4+ 상용화를 위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출범
블랙벨벳
2021. 3. 24. 16:06
반응형
산업부, 과기부, 국토부, 경찰청 등 4개 부처는 자율주행기술개별학신사업을 보다 유기적인 추진과 연구 성과의 사업화, 사업화 강화 등을 위해 공익법인인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을 출범하였습니다.
사업단은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을 총괄 기획 관리하고 사업 성과의 보급 및 확산 등 사업화를 촉진하며, 공공과 민간의 협력의 가교 역할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율주행기술개살혁신사업은 2027년 융합형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 기반 완성을 목표로 진행되는 다부처사업입니다. 크게 5대 분야 84개 세부과제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 차량융합 신기술
- ICT융합 신기술
-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 서비스 창출
- 생태계 구축
자율주행차
자율주행차는 자동차에 IT, 센서 등의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자동차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위험을 판단하면서 주행 경로를 계획하는 등 운전자나 승객의 조작없이도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를 말합니다.
- 엑추에이터 : EPS, ABS&ESP, ECU
- 인식센서 : Lidar, Camera, FCM, Radar
- HMI시스템 : TABLET PC, SIDE MONITOR, Sub MONITOR, CONTROL PANEL
- 제어시스템 : EMBEDDED PC, EMBEDDED PC(TLR), AUTOBOX, ADACU(KATECH ECU)
- 협력주행 시스템 : WAVE 모델, CDGPS 모듈, LDM 모듈
자율주행 기술구분
자율주행차 운전 자동화 단계로써 6단계로 나뉩니다. 이 중 3레벨 이후부터 자율주행차로 정의됩니다.
레벨0
구분 | 내용 |
명칭 | 無 자율주행(No Automation) |
자동화 항목 | 없음(경고 등) |
운전주시 | 항시 필수 |
자동화 구간 | - |
시장 현황 | 대부분 완성차 양산 |
예시 | 사각지대 경고 등 |
레벨1
구분 | 내용 |
명칭 | 운전자 지원(Driver Assistance) |
자동화 항목 | 조향 or 속도 |
운전주시 | 항시 필수 |
자동화 구간 | 특정 구간 |
시장 현황 | 대부분 완성차 양산 |
예시 | 차선 유지 또는 크루즈 기능 |
레벨2
구분 | 내용 |
명칭 | 부분 자동화(Partial Automation) |
자동화 항목 | 조향 & 속도 |
운전주시 | 항시 필수(조향핸들 상시 잡고 있어야 함) |
자동화 구간 | 특정구간 |
시장 현황 | 7~8개 완성차 양산 |
예시 | 차선유지 및 크루즈 기능 |
레벨3
구분 | 내용 |
명칭 | 조건부 자동화(Conditional Automation) |
자동화 항목 | 조향 & 속도 |
운전주시 | 시스템 요청시(조향핸들 잡을 필요 없음, 제어권 전환 시만 잡을 필요) |
자동화 구간 | 특정구간 |
시장 현황 | 1~2개 완성차 양산 |
예시 | 혼잡구간 주행지원 시스템 |
레벨4
구분 | 내용 |
명칭 | 고도 자동화(High Automation) |
자동화 항목 | 조향 & 속도 |
운전주시 | 작동구간 내 불필요(제어권 전환 없음) |
자동화 구간 | 특정구간 |
시장 현황 | 3~4개 벤처 생산 |
예시 | 지역(Local) 무인택시 |
레벨5
구분 | 내용 |
명칭 | 완전 자동화(Full Automation) |
자동화 항목 | 조향 & 속도 |
운전주시 | 전 구간 불필요 |
자동화 구간 | 전 구간 |
시장 현황 | 없음 |
예시 | 운전자 없는 완전 자율주행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