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맞춤형 지원(2022년 예산 중에서)
- 손실보상 하한액 10 → 50만원 인상
- 소상공인 35.8조원 규모 금융지원
- 관광 및 체육업계 등 맞춤형 지원
소상공인 손실보상 확대
영세 소상공인의 피해를 보다 두텁게 보상하기 위해 손실보상 하한액(분기당) 10 → 50만원 인상 등
소상공인 저리 자금 지원
유동성 공급
- 상환기간 도래, 대출한도 초과 등으로 금융절벽에 놓인 소상공인 213만명 대상 35.8조원 융자 공급
- 향후 경영정상화 과정에서 소상공인의 자금수요 확대 가능성에 대비 충분한 자금을 선제적 지원
이자경감
시중 대비 저리자금 공급으로 이자 비용 부담 경감
- 희망대출플러스 / 일상회복특별융자 / 소진기금 일반융자 / 신용보증 시중은행 융자
구분 | 대출금리 | 대상인원 |
희망대출플러스(소상공인융자) | 1% | 14만명 |
희망대출플러스(저신보 특례보증) | 1% | 38만명 |
희망대출플러스(시중은행 이차보전) | 1.5% | 48만명 |
일상회복 특별융자 | 1% | 10만명 |
소진기금 일반융자 | 2~3%대 | 3만명 |
신용보증 시중은행 융자 | 2~3%대 | 100만명 |
1. 희망대출플러스
금지, 제한, 경영위기업종 소상공인 100만명 대상 중, 저신용1.0% / 고신용1.5% 초저금리 대출(1천만원 한도) 10조원 공급
2. 일상회복특별융자
숙박업, 결혼식장, 장례식장 등 인원 및 시설제한업종 및 여행, 공연, 전시업 10만명 대상 1% 대출(2천만원 한도) 2조원 지속 공급
3. 소진기금 일반융자
저신용 특별피해업종 외 청년, 신규 창업자 등 소상공인 3만명에 정책자금(2~3%대, 운영자금 최대 1억원) 2.8조원 지원
4. 신용보증 시중은행 융자
일반업종 등 소상공인 100만명 대상 지신보 보증 21조원(2~3%대, 평균 2천만원) 보증료 0.2%p 1년간 감면(+420억원)
관광 및 체육업계 등 맞춤형 지원
- 관광 : MICE 업계 지원을 위해 디지털 전환 지원 120개사 확대 및 디지털 전문인력 400명 고용 지원(85억원)
- 체육 : 5.5만개사 방역용품 지원(110억원), 1.6%대 융자 추가 공급(+500억원), 헬스트레이너 등 4,000명 고용회복 지원(+444억원)
- 문화 : 대중음악, 공연예술, 영화관 등 보조 및 방역인력 6,800명 채용(+758억원), 예식장 및 장례식장 1,000개 방역물품 지원(+264억원) 등
- 운송 : 법인택시, 전세버스, 노선버스 기사 등 근로취약계층 5만명 대상 1.5% 금리 생활안정자금(500만원 한도) 융자 확대(+1,000억원)
- 공통 : 문화, 체육, 수련시설 바우처 92만개 추가 및 신규보급(통합문화이용권 53만개, 스포츠강좌이용권 0.7만개, 청소년수련활동지원 38만개)
주요 증액사업(관광, 문화분야)
주요 증액사업 | 2022년 예산 | 비고 |
MICE 산업 육성 지원 | 390 | - 마이스기업 디지털 전환 120개사 - 마이스전문인력 400명 양성 및 고용 |
체육시설 방역 지원 | 110 | 실내외 체육시설 5.5만개소방역 지원(5천원×40회) |
스포츠산업 금융지원(융자) | 1,840 | 체육기금 융자 추가 공급 |
체육시설 고용지원 | 444 | 헬스트레이너 등 4,000명 지원 |
대중음악공연 인력지원 | 228 | 무대 및 음향 보조인력 2,000명 |
공연예술분야 인력지원 | 228 | 무대 및 음향 보조인력 2,000명 |
영화관 인력 지원 | 302 | 보조인력 2,800명 지원 |
예식업종 방역지원 | 99 | 900개 예식장 방역지원 |
재난지정장례식장 보강 | 435 | 199개 장례식장 방역지원 |
통합문화이용권 | 1,881 | 기초, 차상위 53만명, 대상연 10만원 문화누리카드 지원 |
스포츠강좌이용권 | 519 | 스포츠 강좌 지원(7.8 → 8.6만명) |
청소년수련활동비 지원 | 114 | 1인당 바우처 2만원 |
생활안정자금(융자) | 1,991 | 근로취약계층 5만명, 최대 500만원 |